경제 게임 만들기/그림으로 보는 경제(7)
-
수요의 가격 탄력성
일반적인 수요와 곡급 곡선은 위와 같다. 탄력성에 대해서는 지난 포스트에서 썼으므로 수요의 가격 탄력성에 대해 간단히 정의하자면,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말 그대로 수요가 가격에 따라 탄력적인지 아닌지를 보는 것이다.가격에 따라 수요가 요동치면 가격 탄력이 있다. 반대로 가격과 무관하게 수요가 고정되어 있으면 가격탄력이 없는 것이다. 위 그래프를 보자.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없으면 그래프는 수직이 된다. 가격과 무관하게 수요 수량은 항상 고정되어있기 때문이다.가격과 무관하게 수요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극단적인 예로 공기를 들 수 있겠다. 사람은 공기 없이는 5분이내 사망한다. 또 비슷하게 물이 있다. 또 식품 같은 생필품이 있을 것이다. 주거공간도 마찬가지다. 또 먹지 않으면 죽는 의약품이..
2024.11.22 -
공급의 가격 탄력성
이전 포스트에서 수요 증대를 통해 잉여를 증가시봤다. 그런데 수요가 증가했지만 소비자 잉여는 증가하는지는 미지수다.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의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다시 사과를 보자. 사과가 몸에 좋다고 소문이 나 갑자기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그런데 사과란 것은 갑자기 생산이 불가능하다. 생산자가 팔고자해도 팔 수가 없는 것이다. 이미 나무를 심었고 사과 농사가 시작되었으면 그해 사과의 공급량은 사실상 정해져있다.그래프를 다시 그려보자.가격이 어찌되었든 사과의 수량은 이미 정해져있다. 그래서 공급곡선은 수직으로 서게된다.(다시 말하지만 가격과 무관하게 수량은 정해져 있으므로 그래프를 그리면 수직이 된다.) 물론 장기적으로 봤을 때 사과의 가격이 오르면 사과나무를 심고, 관리 인력을 더 투입해서라도 더 ..
2024.11.21 -
잉여를 증가시키는 방법 - 수요 부분
지난 포스트에서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를 배웠다. 그럼 잉여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자. 균형수량이 거래량이다. 총잉여가 증가하려면 거래가 줄어야 할까 많아져야 할까? 당연히 많아져야한다. 교류가 줄어드는데 잉여가 커질리 만무하다. 경제란 사람 사이의 교류가 핵심이다.그럼 거래가 많아지는 방법은 무엇일까? 수요가 늘고, 공급이 늘면 된다. 먼저 수요가 증가할 때를 보자.수요가 증가한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그 물건을 이전보다 더 사고 싶어한다는 뜻이다. 갑자기 사과가 열풍이 불었다. 사람들이 너도나도 사과를 사고싶어한다. 기존에 500원에 사고 싶던 사람은 1000원을 주고서라도 사고 싶어하고, 사과에 관심이 없던 사람도 사과를 사고 싶어한다. 이전엔 600원에 7명이 줄 섰..
2024.11.20 -
거래는 어떻게 이뤄지는가 - 시장 가격의 형성 -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지난 포스팅에서 위와 같은 그래프를 봤다. 당연한 말이지만 반복하자면 구매자는 항상 자신이 생각했던 가격 이하에 구매한다. 판매자는 자신이 생각했던 가격 이상에서 판매한다. 경제학에서 잉여라는 말이 있다. 본인이 생각했던 가격대비 시장가격의 차이가 잉여다. 700원에 사려고 했는데 500원에 샀으면 200원이 소비자 잉여다. 300원에 파려고 했는데 500원에 팔았으면 200원이 생산자 잉여다. 이를 그림으로 다시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그리고 총잉여는 당연히 소비자 잉여 + 생산자 잉여 이다. 사과를 700원에 사려고 했는데 500원에 샀으니 200원 이익이라고 했다. 그럼 잉여라는 것이 객관적인 경제 지표가 아닌 주관적 지표가 아닌가 생각할 수 있다. 사과 한 알에 700원까지 생각하는 것은 주관적 생..
2024.11.19 -
거래는 어떻게 이뤄지는가 - 시장 가격의 형성 - 수요와 공급
지난 포스트에서 시장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봤다. 그런데 이것을 간단한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는데 그것이 수요와 공급 곡선이다.그래프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위 그래프를 보면 이해가 바로 안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래프는 절대 어려운 것이 아니다. 천천히 뜯어보면 된다. 가격이 높아지면 판매하고자 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시장에 물건도 늘어난다(판매량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판매하고자 하는 수량이 늘어나는 것이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그래프를 그리자면 위와 같다. 가격이 낮으면 판매자는 적어지고, 가격이 높으면 판매자는 늘어난다.당연하다. 이런 당연한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반대로 수요곡선을 보자 수요곡선을 따라가보자 가격이 높아지면 수량은 줄어든다. 반대로 가격이 낮아지면 수량은 늘어..
2024.11.18 -
거래는 어떻게 이뤄지는가 - 시장 가격의 형성
사과를 판매하는 사람이 있고, 사려는 사람이 있다. 각자 다른 가격을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그런데 700원에 파려는 사람이 있고 300원에 사려는 사람이 있다면 거래는 이뤄지지 않는다.500원에 파려는 사람과 500원에 사려는 사람이 있으면 거래는 이뤄진다. 물론 400원에 파려는 사람과 600원에 사려는 사람이 있어도 거래가 이뤄진다. 시장에 온 사람들이 원하는 가격이 위 그림과 같다고 해보자.어떻게 거래가 이뤄질까? 300원에 파려는 사람은 700원에 사려는 사람이 있다는 걸 알면 결코 300원에 팔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700원에 사려는 사람은 300원에 파는 사람이 있다는 걸 알면 700원에 사지 않을 것이다.판매자와 매수자 모두 이익을 최대화 하려면 최대한 비싸게 사주는 사람과 최대한 싸게..
2024.11.17 -
경제란 무엇일까
경제의 사전적 정의는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생산, 분배, 소비하는 활동을 말한다.핵심은 경제는 사람 사이의 거래다. 경제가 좋다 나쁘다 할 때는 무엇으로 알 수 있을까? 주관적인 만족감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경제에 측정은 사람 사이의 거래로 측정한다. 무언가 주고 받았다는 것은 주고 받은 물건의 가치가 같다라고 사람 사이에 증명 된 것이고 이것으로 숫자화 할 수 있다. 주고 받을 때 기점이 되는 것은 현대에서는 돈이다. 자연스럽게 경제를 측정하는 단위는 돈이 된다. 혼자서 무언가를 만족스럽게 했어도 측정되지 않는다. 분명 가치가 있지만 측정되지 않으므로 경제에서 가치는 0이다. 흔히 아는 GDP를 산출 할 때 이런 것은 산입되지 않는다.그래서 위 두가지 그림을 인..
2024.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