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를 증가시키는 방법 - 수요 부분

2024. 11. 20. 08:43경제 게임 만들기/그림으로 보는 경제

 

지난 포스트에서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를 배웠다. 

그럼 잉여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자. 균형수량이 거래량이다. 총잉여가 증가하려면 거래가 줄어야 할까 많아져야 할까? 당연히 많아져야한다. 교류가 줄어드는데 잉여가 커질리 만무하다. 경제란 사람 사이의 교류가 핵심이다.

그럼 거래가 많아지는 방법은 무엇일까? 수요가 늘고, 공급이 늘면 된다.

 

먼저 수요가 증가할 때를 보자.

수요가 증가한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그 물건을 이전보다 더 사고 싶어한다는 뜻이다. 

갑자기 사과가 열풍이 불었다. 사람들이 너도나도 사과를 사고싶어한다. 기존에 500원에 사고 싶던 사람은 1000원을 주고서라도 사고 싶어하고, 사과에 관심이 없던 사람도 사과를 사고 싶어한다. 이전엔 600원에 7명이 줄 섰다면, 지금은 700원에 9명이 사려고 줄서는 것이다. 사려고 줄선 사람이 달라지니 수요곡선이 이동한다.

 

수요 곡선에서 수요가 늘어날 때

 

기존 수요곡선이 주황색선으로 이동한다. 균형가격은 올라가고, 균형 수량도 늘어난다. 당연히 그래프 왼쪽 면적인 총 잉여는 커진다.

수요가 늘어날 때 수요 공급 곡선의 변화

 

그런데 그래프를 보면 이상한 게 있다. 수요가 늘었다고 했는데 공급자도 늘었다. 수요가 늘면 수요만 늘어나는 것이 아니다. 공급도 늘어난다. 가격이 올라가니 파려는 사람도 더 늘어나는 것이다.

수요가 늘어날 때 수요 공급곡선과 소비자 잉여, 생산자 잉여의 변화

위 그래프에서 각 잉여를 정리해보자.

  소비자잉여 생산자잉여 총잉여
기존 ①+③ ①+③+⑤
수요 증가 후 ①+② ③+④+⑤ ①+②+③+④+⑤

 

① : 기존 소비자 잉여 중 일부

② : 추가된 소비자 잉여

  - 수요 증가로 "사고자하는 가격"(일명 "지불 용의"로 시장가격이 아님에 유념)이 올라서 발생하는 소비자 잉여와

  - 수요 증가로 구매 수량이 늘어 발생하는 소비자 잉여

③ : 균형가격(시장가격) 상승으로 인해 사라진 소비자 잉여 = 균형가격(시장가격) 상승으로 인해 생겨난 생산자 잉여 중 일부

④ : 균형가격(시장가격) 상승으로 인해 생겨난 생산자 잉여 중 일부

⑤ : 기존 생산자 잉여 중 일부

 

수요가 늘어나면 총잉여는 증가된다. 기존 총잉여에서 그래프의 ②+④ 만큼 잉여가 증가한다. 

상식적으로도 그렇다. 사과를 너무너무 가지고 싶고, 다른 사람도 사과를 너무너무 가지고 싶을 때 시장에서 사과의 가치는 올라가고 사과 품목에 대한 잉여는 커진다. 만약 이 개념이 햇갈린다면 다른 품목도 생각해서 그렇다. 사과를 비싸게 사면 다른 것을 못사는 것 아닌가 뭐 이런 생각이다. 맞다. 사과의 수요가 늘고 대신 귤에 대한 수요가 사라졌다면 종합적으로 사과와 귤의 총잉여는 줄었을 수도 있다. 특정 품목의 수요가 늘었다고 해서 전체 시장의 모든 품목의 잉여는 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지금은 단일품목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런데 주의할 점이 있다. 소비자 잉여는 증가되었을까? 그래프를 보자. 기존 ①+③ 부분에서 ③은 없어지고 ②가 들어왔다.

없어진 잉여인 ③이 새로 생긴 ②보다 크면 소비자 잉여는 수요가 늘었음에도 감소한다.

반대로 생산자 잉여는 증가한다. 기존 ⑤에서 빠지는 것 없이  ③+④ 부분이 더해지기 때문이다.

 

그럼 어떤 경우 수요가 증가했을 때 소비자 잉여가 줄어들까? 다음 포스트에서 알아보자.